제조업 정기안전보건교육 4분기 6차시(사고발생 시 응급처치 외)
문제1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? 4
1.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일 것을 요하지 않음
2. 피해 당사자의 주관적 인식
3. 상황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
4. 괴롭힘의 의사가 중요
해설 [정답] :4
괴롭힘의 의사는 판단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문제2 다음 중 근로자 4대 필수 안전수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 3
1. 안전보건교육 실시
2. 안전보건표지 부착
3. 안전보호구 관리와 점검
4. 안전작업 절차 지키기
해설 [정답] :3
안전보호구 지급 및 착용, 안전보건표지 부착, 안전보건교육 실시, 안전작업 절차 지키기가 바로 4대 필수 안전수칙입니다.
문제3 직장 내 괴롭힘 중 조직적, 환경적 괴롭힘으로 맞는 것은? 2
1. 과중한 업무 부여
2. 인력감축을 목표로 한 괴롭힘
3. 모욕적 언사
4. 정서적 학대
해설 [정답] :2
정당한 권리 주장을 이유로 한 괴롭힘, 노동조합을 이유로 한 괴롭힘, 인력감축을 목표로 한 괴롭힘, 일상적인 인력관리 전력으로 활용은 조직적, 환경적 괴롭힘에 해당합니다.
문제4 다음은 직장 내 괴롭힘 관련 법령에 대한 설명이다. 해당하지 않는 것은? 4
1. 근로기준법에 직장 내 괴롭힘의 정의 및 금지 조항이 있다.
2. 근로기준법에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용자의 조치의무 조항이 있다.
3.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에 조항이 있다.
4. 산업안전보건법에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발생 시 조치사항에 관한 취업규칙 필수 기재의무 조항이 있다.
해설 [정답] :4
근로기준법에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발생 시 조치사항에 관한 취업규칙 필수 기재의무 조항이 있습니다.
문제5 다음 중 잠재위험 통제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 2
1. 작업별 위험요인 관리책임자 지정
2. 작업 전 안전교육 및 개인별 위험요인 숙지하기
3.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
4. 작업 후가 아닌 시작 전 안전점검
해설 [정답] :2
잠재위험을 통제하기 위하여 작업시작 전·중·후 안전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.
문제6 다음 중 현장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으로 맞는 것은? 1
1. 자신의 안전을 먼저 생각하고 환자에게 자신이 응급처치자임을 알린다.
2. 원칙적으로 의료기구와 의약품 사용을 한다.
3. 최대한 자체적으로 구조활동을 진행한다.
4. 응급환자에 대한 생사를 판정한다.
해설 [정답] :1
의료기구나 의약품은 사용하지 않으며, 빠른 시간내에 응급의료진에게 인계하며, 응급환자에 대한 생사 판정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.
문제7 근골격계질환의 직업병적 원인이 아닌 것은?
1. 반복적인 동작
2. 신기술 및 신공정
3. 부적절한 자세
4. 무리한 힘의 사용
해설 [정답] :2
근골격계질환의 직업병적 원인은 반복적인 동작, 부적절한 자세, 무리한 힘, 접촉, 진동, 온도 등을 말합니다.
문제8 심폐소생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4
1. 분당 100~120회의 속도로 가슴을 압박한다.
2. 5~6cm깊이로 가슴을 압박한다.
3. 가슴압박 중단은 최소화하며 5주기마다 압박자를 교체한다.
4. 심폐소생술은 최초 발견자가 계속 진행한다.
해설 [정답] :4
심폐소생술은 5주기마다 압박자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.
문제9 유해요인조사 방법으로 틀린 것은? 4
1. 근로자 면담
2. 증상 설문조사
3. 인간공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
4. 중량물 취급작업만 조사
해설 [정답] :4
근로자 면담, 증상 설문조사, 인간공학적 측면을 고려한 조사, 세 가지 항목 모두 포함하여
유해요인 조사를 실시합니다.
문제10 멀티콘센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? 4
1. 직경 1.5㎟ 이상
2. 캡타이어케이블
3. 과부하 차단 기능
4. 전선길이 5m 이내
해설 [정답] :4
전선길이는 3m 이내이어야 합니다.
'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이를 위한 숙소] 제주 선흘아이 키즈풀빌라 후기 (59) | 2024.02.10 |
---|---|
키즈호텔룸이 있는 제주 그라벨 호텔 후기 (79) | 2024.01.07 |
제조업 정기안전보건교육 1분기 6차시(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외) (53) | 2023.12.10 |
제조업 정기안전보건교육 2분기 6차시(안전보호구의 이해와 관리 외) (65) | 2023.12.08 |
제조업 정기안전보건교육 3분기 6차시(안전보건표지의 이해 외) 답안 (64) | 2023.12.07 |